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조지 거슈윈의 생애, 장르적 융합, 미국적 음악 창조

by ispreadknowledge 2025. 6. 29.

조지 거슈윈 관련 사진

조지 거슈윈은 클래식과 재즈의 경계를 허물며 20세기 미국 음악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작곡가입니다. 클래식의 문턱이 높게 느껴지시는 분들에게도 그의 음악은 친근하고 다채롭게 느껴질 것입니다. 대중적인 명곡들을 많이 썼던 거슈윈은 어떤 사람이었는지, 이러한 흥행 요소는 무엇이었는지, 또 그의 음악이 미국적 사운드의 기틀을 마련했다고 평가되는 이유는 무엇인지 등 다방면에서 그를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 봅시다.

조지 거슈윈의 생애

1898년 뉴욕 브루클린에서 러시아계 유대인 이민자의 둘째 아들로 태어난 조지 거슈윈(George Gershwin)은 형 아이라 거슈윈, 동생 아서, 프랜시스와 함께 유복하지는 않지만 화목한 가정에서 자랐습니다. 처음에는 음악보다 스포츠에 더 관심이 많았으나, 10살 무렵 친구의 바이올린 연주회를 본 뒤 음악에 깊은 인상을 받아 피아노에 빠지게 됩니다.

14살에 정식으로 피아노를 배우기 시작하여 15세에 'Tin Pan Alley'로 불리던 뉴욕의 음악 출판 거리에서 악보 출판사 ‘레모 앤드 파월’에 취직하게 됩니다. 이 시절 그는 수많은 대중가요를 연주하고 편곡하면서, 작곡과 편곡 실력을 자연스럽게 익히게 되었고 음악 산업 전반에 대한 감각도 키웠습니다.

그는 1919년 형 아이라 거슈윈과 협업하며 뮤지컬 작곡에 뛰어들었고, 이들의 첫 히트작은 바로 <Swanee(1919)>였습니다. 원래 뮤지컬을 위해 쓰인 곡이었지만, 가수 알 조울슨(Al Jolson)이 부른 음반이 미국 전역에서 100만 장 이상의 판매고를 올리며 조지 거슈윈을 일약 스타 작곡가로 만들어줬습니다.

이후 형과 함께 만든 <Lady, Be Good(1924)>, <Oh, Kay!(1926)>, <Funny Face(1927)>, <Strike Up the Band(1927)>, <Girl Crazy(1930)>, <Of Thee I Sing(1931)> 등의 뮤지컬 작품들은 그를 브로드웨이의 대표 작곡가로 자리잡게 했습니다. 대표작으로 언급되는 많은 클래식 작품들도 이즈음 탄생했습니다. 또한 <Three Preludes>, <Novelette in Fourths>와 같은 재즈 스타일 피아노 소곡, <Embraceable You>, <Someone to Watch Over Me>, <The Man I Love> 같은 대중가요, <Lullaby for String Quartet>과 같은 실내악도 작곡하며 장르를 넘나드는 폭넓은 레퍼토리를 구축했습니다.

거슈윈은 드뷔시, 리스트, 스트라빈스키 등 유럽 클래식 작곡가들뿐 아니라, 블루스와 재즈 등 미국의 토착 음악가들에게도 영향을 받았습니다. 특히 프랑스 유학 당시 라벨에게 사사를 청했으나, 라벨이 “당신은 이미 훌륭한 거슈윈이다. 라벨이 될 필요는 없다”는 유명한 말로 거절했다는 일화도 있습니다.

하지만 1937년, 그는 잦은 두통과 시력 저하 증상을 겪은 끝에 뇌종양 판정을 받게 됩니다. 수술을 받았으나 결국 회복하지 못했고 38세의 나이에 세상을 떠났습니다. 수많은 음악가들과 팬들이 참석한 가운데 장례식이 거행되었으며, 음악계는 큰 별 하나를 잃은 충격에 빠졌습니다.

장르적 융합

<Rhapsody in Blue(1924)>는 조지 거슈윈의 대표작 중 하나로, 그의 음악 스타일이 가장 뚜렷하게 드러나는 작품입니다. 이 곡은 폴 화이트먼 오케스트라에 의해 초연되었으며, 클래식과 재즈를 융합한 새로운 음악 양식을 선보이며 당시 청중에게 신선한 충격을 안겼습니다.

이 작품은 클래식의 구조적인 틀 위에 재즈의 즉흥성과 감성적인 해석을 덧입혀, 장르적 혼합을 잘 구현한 사례로 평가받습니다. 클라리넷의 글리산도로 시작되는 인상적인 도입부는 기존 클래식 곡에서 보기 힘든 요소로, 곡 전체에 걸쳐 재즈의 자유로운 리듬과 선율이 배어 있습니다. 특히 싱코페이션, 블루노트, 그리고 재즈 화성은 고전적인 협주곡 구조 속에서 유기적으로 배치되어, 전통과 현대, 유럽과 미국의 음악이 절묘하게 공존합니다.

또한 기억하기 쉬운 멜로디로 이루어져 있으며 감상적인 주제 선율이 반복적으로 등장한다는 점도 큰 인기 요소입니다. 이런 특징이 잘 드러나는 부분은 곡 중간부에서 피아노와 오케스트라가 주고받는 테마 반복 구간입니다. 피아노는 마치 즉흥적으로 연주하는 듯 보이지만, 이는 거슈윈이 세심하게 설계한 멜로디로, 청중의 감정선을 유려하게 이끕니다.

<포기와 베스(1935)>는 그가 유일하게 완성한 전막 오페라로,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삶을 중심으로 구성된 작품입니다. 이 오페라는 당시 클래식 무대에서 거의 다뤄지지 않았던 흑인 커뮤니티의 일상을 사실적으로 담아내며 큰 화제를 모았습니다.

이 작품에 포함된 'Summertime(1935)'는 클래식, 재즈, 블루스의 색채를 모두 담아낸 대표적인 곡입니다. 자장가풍의 서정적 멜로디는 청중의 감정을 자극하며, 단순한 음형 속에서도 깊은 정서를 전달합니다. 또한 이 곡은 이후 전 세계에서 수천 번 이상 리메이크되며, 장르를 뛰어넘는 대중성과 예술성을 동시에 인정받는 명곡으로 남았습니다. 특히 인종적 경계와 음악 장르의 경계를 동시에 넘은 작품으로, 주제와 구성의 독창성은 현재까지도 높은 예술적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그 외에도 <Concerto in F(1925)>와 <An American in Paris(1928)>는 거슈윈 특유의 멜로디 감각과 리듬 감성이 돋보이는 작품들입니다. 전자는 협주곡이라는 틀 안에 재즈적 요소를 녹여냈고, 후자는 파리 거리의 소음을 음악적으로 묘사하며 인상주의적 색채와 미국적 감성이 절묘하게 결합된 곡입니다. 그는 이처럼 각기 다른 형식을 취하면서도 일관된 정체성과 음악 언어를 공유하는 다양한 작품들을 많이 남겼습니다.

미국적 음악 창조

음악 장르의 경계를 허문 그의 음악은 현대에도 다양한 무대와 매체에서 울려 퍼지고 있습니다. 예시로, <Rhapsody in Blue(1924)>는 디즈니의 애니메이션 영화 환타지아 2000에서 뉴욕 도시의 아침을 표현하는 장면에 삽입되어 거슈윈의 도시적 감성과 재즈적 생명력을 아름답게 시각화했습니다. 또한 광고, 다큐멘터리, 드라마 등에서도 자주 등장하며 환상적이고 복합적인 분위기를 연출하는 데 자주 활용됩니다.

무대 공연 분야에서도 거슈윈의 작품은 끊임없이 재해석되고 있습니다. <Porgy and Bess(1935)>는 현재까지도 세계 각국의 오페라 극장에서 공연되며, 오페라계에서 가장 자주 상연되는 미국 작곡가의 작품 중 하나로 꼽힙니다. 특히 <An American in Paris(1928)>는 영화와 뮤지컬 무대를 넘나들며 지속적인 생명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1951년 MGM에서 제작된 동명의 영화 An American in Paris는 진 켈리(Gene Kelly)를 주연으로, 파리의 낭만과 예술을 배경으로 한 서사에 거슈윈의 음악이 풍부하게 어우러진 작품입니다. 이 영화는 제24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작품상 등 6개 부문을 수상하며, 클래식 음악을 대중문화에 성공적으로 녹여낸 사례로 남아 있습니다. 이후 2015년에는 이 작품이 브로드웨이 뮤지컬로 재탄생해 무대에 올랐습니다. 댄스, 연기, 음악이 조화를 이루며 현대적으로 재해석된 이 뮤지컬은 평단의 찬사를 받았고, 토니상 4개 부문을 수상하면서 거슈윈 음악의 시대 초월적 매력을 다시금 증명해 보였습니다.

그의 음악은 다음과 같은 작곡가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습니다. 레너드 번스타인은 <West Side Story(1957)>에서 라틴 리듬, 클래식 화성, 재즈적 전개를 결합해 거슈윈의 ‘장르 융합’ 정신을 계승했고, 존 윌리엄스는 영화 음악에서 클래식 기반의 서사 구조에 재즈적 긴장감과 감정을 더해 새로운 표현 방식을 열었습니다. 또한 재즈 연주자 허비 행콕과 윈튼 마살리스는 거슈윈의 작품을 현대적 언어로 재해석하며, 그의 작곡 언어를 다양한 음악 장르에 이식하고 있습니다.

평론가 해롤드 쇼넨버그(Harold C. Schonberg)는 거슈윈을 “미국 음악이 유럽의 전통에 갇혀 있던 시대에, 새로운 미국의 소리를 들려준 선구자”라고 평가한 바 있습니다. 이처럼 조지 거슈윈은 시대와 장르를 초월하는 음악 언어를 만들어낸 혁신가였으며, 그의 음악은 지금 이 순간에도 전 세계의 무대와 스크린 위에서 살아 숨 쉬고 있습니다.